본문 바로가기

☯ 국내 핫이슈

`한국형 공공자전거` 정부 종합대책 나온다

반응형
BIG

`한국형 공공자전거` 정부 종합대책 나온다

이데일리 | 안승찬 | 입력 2009.04.22 10:45

 

 

- 전국단위 시스템 도입 위해 관계부처 협의

- 독자 기술·시스템 개발..중복투자 막고 산업 육성


[이데일리 안승찬기자] 정부가 버스 처럼 교통카드로 자전거를 대여해 교통수단으로 이용하는 전국적인 공공자전거 시스템 도입을 추진한다.

특히 해외 시스템을 그대로 도입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적인 공공자전거의 표준과 기술 개발을 통해 `한국형 공공자전거 시스템`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22일 정부에 따르면 지식경제부, 행정안전부, 국토해양부, 문화관광부 등 각 정부 부처는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전국 단위의 공공자전거 시스템 도입을 위한 협의를 진행중이다.



▲ 세계적인 성공모델로 꼽히는 프랑스 파리의 공공자전거 대여시스템 `벨리브(Velib)`. 대여소 1450개 자전거 2만대를 운영중이다.

공공자전거(Public Bicycle)는 자전거 정류장에서 공공자전거를 빌려 이동한 이후 목적지에서 반납하는 친환경 교통수단이다. 프랑스 파리의 공공자전거 대여시스템인 `벨리브(Velib)`가 대표적이다. 선진국에서는 2007년부터 급속도로 도입이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서울 송파구청을 비롯해 경기도 고양시, 과천시, 경북 청원시, 상주시 등 전국 지자체들이 자체적으로 공공자전거 시스템을 시범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지자체들의 공공시스템은 대부분 해외에서 생산된 공공자전거를 그대로 도입하는 실정이다.

또 각 지자체별로 사용되는 자전거와 시스템이 서로 달라 예산낭비와 중복투자 문제도 제기된다. 도입되는 모든 자전거가 해외에서 생산된 자전거라는 점에서 국내 자전거 산업 활성화에도 도움이 되지 못한다.

이에 정부는 각 관련 부처가 모여 `한국형 공공자전거 시스템` 도입을 위한 조율과 역할 분담에 착수했다. 지식경제부는 공공자전거의 기술개발을, 국토해양부는 자전거 전용도로와 시설 확충을, 문화광관부는 홍보 등을 맡는 식이다.

정부 관계자는 "전국적인 단위의 공공자전거 시스템 도입할 경우 국내 자전거 산업 활성화도 기대할 수 있다"며 "관련 범위가 넓기 때문에 다양한 관계부처가 모여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지식경제부 산하 대덕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의 경우 대덕에 자전거클러스트를 만들어 전국적인 자전거 연구개발과 생산거점으로 육성하겠다는 목표다.

한국형 공공자전거 시스템의 도입은 대중교통시스템을 보완하고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교통수단 뿐 아니라 산업적 파급효과도 클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금속소재, 부품기계, 폐인팅, 용품 등 1차 연관산업 뿐 아니라 자전거용 네비게이션과 RFID 등 정보통신, 자전거 이용자보험 등 금융, 거치대나 스테이션 등 시설물에 사용될 태양관 등 신재생에너지 등 파급력이 클 수 있기 때문이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공공자전거 시장은 600억원 수준이었지만 내년에는 10배 이상 증가한 6000억원 규모로 예상되고 있다. 서울시만 하더라도 본격적으로 공공자전거를 도입할 경우 2만대 가량의 수요가 생긴다.

또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자전거가 급부상하면서 세계 각국 정부도 공공자전거 시스템 개발과 활용에 적극적인 모습이다. 공공자건거 시스템의 국산화에 성공할 경우 해외 수출도 꾀할 수 있다. 내년 해외 공공자전거 시장 규모는 4조원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 다른 정부 관계자는 "내구성과 안전성, 편리성이 담보되지 않고 우후죽순으로 공공자전거가 들어울 경우 막대한 유지보수 비용만 들고 소비자들에게 외면당할 수 있다"며 "초기 단계부터 한국형 모델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