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일 놀이를 하면 어떤 게
좋을까?
생후 2개월 이전의 웃음은 외부 자극과 관련 없이 본능적으로 일어나지만
인지력이 발달하는 2개월 이후부터는 상호작용에 의해서 미소를 짓게 된다. 이 시기 엄마가 아이를 미소 짓게 할 수 있는 놀이를 꾸준히 한다면
엄마와의 애착관계를 돈독하게 해 정서적으로 안정된 아이로 자랄 수 있다. 웃음은 교감신경을 자극해 마음을 편안하게 만들어 주고, 두뇌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
|
01. 애착관계를 돈독하게 한다_ 놀이를 통한 웃음은 엄마와의 애착관계를 돈독하게 만들어
준다.
02.
오감을 두루 발달시킨다_ 촉각, 청각, 미각… 다양한 놀잇감을 이용하는 스마일 놀이는 아이의 오감을 발달시켜 감각적이고, 창의력 넘치는 아이로
키우는 데 도움이 된다.
03. 두뇌 발달에 도움이 된다_ 36개월 이전의 아이들은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두뇌 발달에 도움이 된다.
04. 신체 발달에 도움이 된다_ 웃음은 웃는 과정을 통해
전신이 이완되고, 복식호흡을 하게 됨으로써 가슴과 위장, 어깨 주위를 마사지하는 효과가 있다. 스마일 놀이를 통해 아이의 신체 발달을 촉진 시킬
수 있다.
05. 면역력이 좋아진다_ 웃음은 체내에서 낡은 공기와 새 공기의 교환을 촉진시켜 혈중
산소 농도를 높여 머리를 맑게 하고 신진대사를 촉진해 아이의 기초 면역력을 높인다.
| |
|
“스킨십이
많은 놀이를
해보세요”
신생아기의 가장 중요한 감정 반응은 웃음이다. 생후 2개월 이전의 웃음은 외부 자극과 관련 없이 자발적으로 일어나지만 2개월
이후에는 상호작용을 통해 미소를 짓는 ‘사회적인 웃음’이 시작된다. 이 시기 엄마의 자극을 통해 웃음을 많이 짓게 되는 아이는 엄마와의
애착관계가 돈독해져 정서적으로 안정된 아이로 자라게 된다.
| |
|
① 코코코~ 거울 보기
아기를 안고
거울을 보면서 ‘엄마 코는 여기 있네! 우리 아기 코는 어디 있을까?’라고 묻는다. 거울을 보며 엄마는 아기의 신체 부위를 톡톡 치면서 장난을
쳐본다.
* 이런 효과가 있어요 * 거울에 비친 모습을
통해 신체 부위를 만지는 놀이는 아기에게 웃음을 전해줄 수 있다.
② 풍선으로
자극하기
노랑, 빨강, 파랑… 아기가 분별하기 쉬운 원색의 풍선을 불어 놓고,
가장 좋아하는 색깔의 풍선을 누르면서 ‘무지개~’ 노래를 불러준다.
* 이런 효과가 있어요 *
미끌미끌~ 세게 만져도 팔 사이로 쏘옥 빠져나가는 풍선을 통해 색감과
촉감을 발달시킬 수 있다.
③ 신문지
가면
신문지 중간을 뚫어 엄마의 얼굴이 구멍 사이로 나올 수 있게 한다. 아기와
마주 앉아 신문지 사이로 얼굴을 보여주면서 아기의 이름을 부른다.
* 이런 효과가 있어요
* 아이에게 초점 맞추는 능력을 길러줌으로써 시각을 발달시켜 뇌 신경세포
생성에 도움이 된다. | |
|
④ 피리 불어주기
알록달록 기다란 피리를
아기 귓불에 대고 불어준다. 아기 뒤에 앉아서 좌우로 방향을 바꿔가며 피리를 불어 아기가 이리저리 반응할 수 있게 한다.
* 이런
효과가 있어요 * 피리 소리에 맞춰 좌우로 반응을 하면서 운동신경이 발달하고, 리듬감 있게 피리를 불어주면 아이의 음감을 키울 수
있다.
⑤ 스카프 까꿍!
아이가
스카프를 잡아당겨서 까꿍 놀이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아이의 머리 위에도 스카프를 올려놓고 엄마가 위로 잡아당기면서 놀이를 할 수 있다.
* 이런 효과가 있어요 * 스카프의 촉감을 느껴보고, 엄마의 얼굴이 가려졌다 보이는 까꿍 놀이를 통해 대상 영속성을 발달시킬
수 있다.
⑥ 엄마와 하늘
날기
아기를 번쩍 안아 올리고, 내리는 동작을 반복한다. 놀이를 통해 아이는 바닥에 누워 있거나 앉아 있을
때와 는 다른 시야를 경험하게 되고, 다양한 시각 변화를 알게 된다.
* 이런 효과가 있어요 * 더 높은 곳에서 사물을 바라보게 하면서 같은 사물을 여러 방향에서 바라보는 ‘복안 사고력’을
길러준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