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경기도의회 최환식 의원(한·부천) 등 34명의 도의원이 도시철도방식으로 공사중인 서울지하철 7호선 연장구간 중 부천구간을 광역철도 방식으로 변경해 달라며 제출한 건의안이 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심의에서 형평성 등의 이유로 전격 보류됐다.
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는 19일 오전 ‘제220회 임시회 제1차 회의’를 열고 ‘서울지하철 7호선(서울 온수역∼인천부평구청역 중 부천구간 7.3㎞) 재원마련 촉구 건의안’에 대한 심의를 벌였으나 타 지역과의 형평성에 어긋나는데다 재원마련이 쉽지 않다며 보류키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이 안건은 다음달 개최될 제221회 임시회에서 다시 다뤄지게 됐다.
이날 심의에서 장경순 의원(한·안양)은 “부천시가 현재 도시철도방식(국비 60%, 지자체 40%)으로 공사 중인 서울지하철 7호선 연장구간 중 부천구간에 대한 건설사업을 광역철도방식(국비 75%, 지자체 25%)으로 변경해줄 것과 지자체 25% 중 15%를 도비로 부담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는데 이는 지방중기재정계획에 반영되지 않아 쉽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이종률 의원(한·이천)도 “이번 건의안이 통과된다 하더라도 강제성이 없는데다 정부 방침을 바꾸기가 여간 쉽지않은 실정으로 예산부분에 대한 결정이 없는 한 이번 건의안 채택은 의미가 없다”고 주장했다.
특히 강석오 위원장(한·광주)과 김홍규 의원(한·동두천)은 “이번 지하철 공사는 이미 원혜영 부천시장 시절에 시작된 것으로 이 문제를 부천시의회가 아닌 경기도의회에서 결의안을 채택한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면서 “부천시의회에서 공식 요청이 있었던 것도 아니고 난감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이지헌 도교통국장 역시 “현재 용인·의정부·광명지역도 경전철 사업이 추진중인데 부천을 포함해 이들이 요구하는 도비만해도 2천950억여원에 달하고 앞으로 11개 사업이 추진될 계획으로 부천만 지원할 수 없는 노릇”이라며 “정부 기조가 더이상 수도권에 광역철도방식으로 철도건설을 하지 않겠다는게 최근 기조로 광역철도방식 변경은 더욱 기대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그러나 건의안 제출자인 최환식·황원희 의원 등 부천지역 의원들은 “부천의 재정자립도가 점차 낮아지고 있는 추세에서 경기도는 적극적으로 7호선 연장선 건설방식 변경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박수철기자 scp@kgib.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