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BIG
부푸는 수도권 재개발 … 바람빠진 지방 재개발
[중앙일보 2006-11-28 18:13:33]
|
[중앙일보 조철현.함종선] 재개발시장이 서울 중심에서 전국으로 커지고 있다. 경기도 등 수도권과 지방에서도 올 들어 자치단체별로 잇따라 재개발 대상지가 정해진 데 이어 뉴타운과 정부에서 지원하는 도시재정비촉진지구(이하 재정비지구) 등 대규모 도심 개발사업도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시장은 양극화하는 모습이다. 수도권은 집값 상승세에 힘입어 광역개발 열풍이 불고 있지만 지방은 썰렁한 편이다. 자세한 내용은 조인스랜드(www.joinsland.com) 참조 ◆서울 4차 뉴타운 후보지 벌써 '후끈'=오세훈 서울시장의 뉴타운 확대 개발 공약에 따라 내년 상반기에 선정될 4차 뉴타운 후보지들이 벌써 달아오른다. 도봉구 창동 신창공인 이영록 사장은 "이미 지정된 뉴타운들의 가격이 만만찮고 매물도 많지 않아 아직 수면 위로 오르지 않은 4차 후보지들에 발 빠른 투자자들이 몰린다"고 말했다. 투자자 발길이 이어지는 곳은 용산구 서계.청파동, 강서구 화곡동, 구로구 구로동, 성동구 성수동 일대 등이다. 구청에서 뉴타운을 적극 추진하거나 6월 3차 뉴타운 선정에서 탈락한 곳이다. 서계동에서 대지 지분 10평 안팎의 다세대주택 가격이 지난달 이후 평당 300만~500만원 올라 평당 4000만원이다. 용산구 미래공인 김현호 사장은 "용산구가 이 일대를 뉴타운으로 개발하겠다고 밝힌 뒤 투자자들의 입질이 끊이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구청의 개발 의지가 강한 화곡동 일대에서도 매물이 드물고 소규모 빌라 가격이 평당 1800만원으로 한 달 새 평당 300만원 뛰었다. 3차 뉴타운에서 탈락한 곳도 들썩인다. 3차 뉴타운에 신청했다 주거 여건이 비교적 양호하다는 이유로 탈락한 곳이 구로동 등 11곳이다. 구로동의 7평짜리 빌라 가격이 한 달 전보다 평당 200만원 올라 평당 2000만원을 넘었다. 구로동 신성공인 관계자는 "구로구 내 뉴타운이 한 곳도 없어 이번에는 뉴타운에 포함될 것이란 기대감이 크다"며 "몇 년간 움직이지 않던 가격이 한꺼번에 올랐다"고 말했다. 성수 1, 3동 일대는 서울시가 추진하는 강북개발계획(U턴 프로젝트)과 맞물려 치솟고 있다. 올해 초 평당 2200만~2500만원 선에서 요즘 평당 3500만~4500만원에 호가가 형성돼 있다. ◆경기도는 재정비지구 '바람'=경기도는 최근 부천시 소사지구 등 10곳을 재정비지구 대상지로 선정했다. 이들 지역은 내년 상반기 지구 지정을 거쳐 본격적으로 개발된다. 부천시 고강동 부동산마을공인 유정남 사장은 "올 여름 평당 500만~600만원이었던 낡은 빌라 값이 평당 700만~800만원으로 올랐다"며 "앞으로 개발이 가시화하면 더 오를 것으로 보고 주인들이 내놓지 않아 매물이 뜸하다"고 말했다. 광명시 광명동 일대 소규모 단독주택 가격도 올라 평당 1300만~1400만원에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구리시 수택동의 연립주택 가격은 평당 1200만~1400만원 선이다. 수택동 제일공인 관계자는 "재정비지구 개발 소식이 전해지면서 매물이 줄고 큰 폭은 아니더라도 오름세를 타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거래는 많지 않은 편이다. 지구 지정에 앞서 투기 방지를 위해 이미 18일부터 대지 6평 이상을 대상으로 토지거래허가제가 강화돼 거주용 구입만 가능해 거래 위축 우려가 나오기 때문이다. ◆지방은 현금 청산 조합원 골치=올 들어 부산 등 지방 5개 광역시에서 모두 400곳 정도가 예정구역으로 선정되면서 지방에도 재개발사업이 시작됐지만 시장 분위기는 수도권과 달리 잠잠한 편이다. 대구 중구 H공인 관계자는 "시공사 선정 시기 규제가 시행된 8월 말 이전까지 한바탕 북적댄 뒤로는 조용해졌다"고 말했다. 대전 중구 선화동 대일공인 관계자는 "재개발 지분 가격이 평당 300만원 정도인데 거래가 많지 않아 올 들어 거의 오르지 않았다"고 전했다. 부산.대전 등이 재정비지구 개발계획을 세우고 있지만 시장 반응은 시큰둥하다. 부산시는 서구 충무동 일대(21만 평)와 금정구 서동.금사동 일대(139만 평)를 내년 상반기 재정비지구로 지정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각 구청에서 신청받은 9곳 중 3~5곳을 다음달 재정비지구 후보지로 발표한다. 지방 재개발 침체는 가라앉은 아파트시장의 영향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재개발 지분(아파트를 배정받을 수 있는 권리) 시세는 앞으로 지어질 아파트 가격을 반영하는데 아파트값이 별로 오르지 않고 있어 가격 상승 기대감이 작기 때문이다. 부산시 서구 신진공인 관계자는 "지방에선 주택경기 침체로 당장 들어가 살 수 있는 새 집이 많아 5년 정도 뒤에나 입주할 수 있는 재개발 매력이 적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새 아파트를 분양받지 않고 현금을 받아 나가려는 조합원이 많아 사업의 골칫거리가 되고 있다. 부산 영도구 지역의 한 구역에선 전체 조합원 200명가량 가운데 현금 청산 대상자가 절반이 넘었다. 현금 청산 대상이 많으면 그만큼 일반분양분이 늘어난다. 분양시장이 가라앉아 미분양이 속출하는 상황에서 조합이나 시공사 측의 분양 부담만 커지는 것이다. 조철현.함종선 기자 choch@joongang.co.kr ◆도시재정비촉진지구=특별법의 지원을 받아 낙후된 도심을 15만 평 이상(주거지형) 단위로 개발하는 사업. 개별구역은 재개발(주로 낡은 단독주택지역 개발), 재건축(대부분 노후 아파트를 허물고 신축) 등으로 나눠지지만 대부분 재개발이다. 재개발에는 용적률 상향 등의 혜택이 있다. ◆뉴타운=용적률 등의 혜택이 없는 서울시 등이 벌이는 대규모 도심 개발. 재개발이 대부분이다. ◆일반 재개발구역=재정비지구나 뉴타운에 속하지 않는 지역 재개발구역. 공공의 지원이 없어 용적률 상향 등 혜택은 없다. ▶기자 블로그 http://blog.joins.com/center/journalist.asp |
반응형
LIST
'재건축 재개발 뉴타운 소식 > ☞♣ 富川市 뉴타운(도시재생)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뉴타운 후보지 토지거래허가제로 냉담 (0) | 2006.12.01 |
---|---|
부천시, 2기 뉴타운 내년 발표 (0) | 2006.11.30 |
부천시, 주공·토공과 뉴타운 총괄사업관리자 협약 체결 (0) | 2006.11.28 |
대책 연합회 탄원서에 대한 부천시의 답변 (0) | 2006.11.27 |
부천 범박지구 등 평당 1000만원 이하 재개발 투자처 (0) | 2006.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