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BIG
경기도, 첨단 기능 갖춘 환승거점 정류소 108개소 설치 |
|
실시간 버스도착 정보안내기, 장애인과 노약자를 위한 탑승도우미 시스템 등 첨단 편의시설을 갖춘 것은 물론 외관까지 뛰어난 버스정류장이 경기도에 선보인다.
경기도는 도내 주요환승 거점지역 108개 버스 정류소를 전통의 멋과 첨단 기능이 어우러진 새로운 개념의 환승거점 버스정류소로 바꾸기로 하고, 교체 작업을 내년 6월까지 모두 완료할 계획이라고 29일 밝혔다.
주변 환경과 맞지 않은 특색 없는 시설, 편의시설 부족, 사후관리 부재 등의 이유로 버스이용자들에게 외면 받던 기존 버스정류소를 멋과 기능이 모두 뛰어난 주민편의시설로 변모시키겠다는 것이 경기도의 방침이다.
2008년 6월까지 총 43억원이 투입되는 환승거점 정류소 개선사업은 이용객 조사, 주변실태 등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이용객이 많고, 대규모 환승센터 설치 계획이 없는 ▲수원시 14개소 ▲용인시 9개소 ▲평택시 7개소 ▲군포시 6개소 ▲성남시, 광명시, 시흥시, 안산시 각각 5개소 ▲부천시 4개소 등 28개 시·군 108개소 버스정류장을 대상으로 추진한다.
새로운 환승거점 버스정류소의 가장 큰 특징은 경기도가 추진중인 공공디자인의 개념이 고스란히 담겨있다는 것이다. 들꽃 떡살무늬를 모티브로 한 지붕과 전통한옥의 기둥을 합리적으로 배치, 전통의 멋을 살리고자 했다. 경기도는 디자인관련 교수, 전문가 등의 자문회의를 거쳐 도의 상징성과 정체성이 담긴 버스정류소 디자인을 최근 확정지었다.
도는 이 디자인을 환승거점 버스정류소뿐만 아니라 간선급행버스체계(BRT)구축 구간의 버스정류소, 택시, 지하철, 경전철 안내 표시에도 사용, 경기도의 대중교통을 상징하는 브랜드로 사용할 계획이다(그림 2) 칸을 기본 개념으로 고안됐기 때문에 이용자의 규모와 지역여건에 따라 크기변형이 가능하다. 5개 유형 13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어 주변상가의 민원발생을 최소화하면서도, 장애인 등 교통약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새로운 환승거점 버스정류소는 멋진 디자인과 함께 정류장 곳곳에 첨단 기능이 숨어 있는 명품 버스정류소다.
먼저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은 장애인, 노인, 어린이 등 교통약자들의 편의를 위해 세계최초로 설치되는 탑승도우미시스템. 교통약자가 버스번호를 지정하면 버스기사에게 정류소에 교통약자가 있음을 알려줘, 교통약자들의 이동거리를 최소화 해준다.
의자도 특이하다. 기존 정류소 의자는 도로 앞면을 보도록 설치가 돼있어 효율성이 떨어졌다. 고개를 돌리거나, 일어서야만 버스가 오는지 알 수 있었기 때문이다. 새로운 버스정류소는 전국 최초로 버스가 오는 방향으로 의자를 설치, 이용자들의 편의를 극대화하도록 했다. 어린이들과 장애인들을 위한 낮고 넓은 의자의 설치도 같은 개념이다.
실시간으로 버스정보를 제공하는 실시간 버스도착 정보안내기(BIS단말기) 설치는 기본이다. 현재 수원, 부천, 안양, 안산, 고양, 군포, 시흥시 등 7개 지역에서만 운영되고 있는 BIS단말기가 이번 교체작업으로 연천, 가평, 화성, 광주 지역으로 확대 설치된다. 기능도 좋아져 버스도착 시간안내 뿐만 아니라 간단한 도·시정 소식, 날씨 등 일상생활정보도 제공하게 된다. 이외에도 교통카드 잔액조회기, 야간에도 책을 읽을 수 있는 조명등을 설치하는 등 이용자 중심의 버스정류소로 변모하게 된다.
경기도 대중교통관계자는 “이번 교체공사는 수도권 대중교통통합요금제 실시에 이은 두 번째 대중교통 활성화 방안”이라며 “앞으로 직행좌석형 버스에 대한 환승할인제 확대 등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이 실시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응형
LIST
'재건축 재개발 뉴타운 소식 > ☞♣ 경기도청 뉴타운 및 기타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고양.광명 일부 지역 주거용도로 변경 (0) | 2007.12.10 |
---|---|
경기도 뉴타운 등 현안 4대 정책 의견.제보 받습니다. (0) | 2007.12.05 |
경기도, 6개권역 나눠 맞춤형 관리 (부천을 포함) (0) | 2007.12.03 |
'수도권 규제' 경기도 입장 (0) | 2007.12.03 |
경기지방공사, '경기도시공사'로 명칭 변경 (0) | 2007.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