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건축 재개발 뉴타운 소식/☞♣ 富川市 뉴타운(도시재생) 소식

"부천뉴타운 원주민 재정착률 높여야" 유길용기자

반응형
BIG
"부천뉴타운 원주민 재정착률 높여야"
유길용기자
y2k@
박덕순 도의원, 지원책 주문
경기도 뉴타운 사업이 부천 3개 지역을 대상으로 지구 지정을 마친 뒤 본격 추진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원주민들의 재정착 비율을 높이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민주당 소속 박덕순 의원은 15일 열린 제220회 임시회 3차 본회의에서 이같이 지적하고 원주민 재정착률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도 집행부에 주문했다.

박 의원은 서울시가 진행중인 은평 뉴타운 사업의 원주민 재정착 비율을 사례로 들었다.

서울시의 '뉴타운 사업에 따른 원주민 재정착률 재고방안 중간보고서'에 따르면 길음뉴타운 4구역의 조합원 재정착 가구는 13.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입자의 경우에도 공공임대주택 입주권을선택한세입자 가구 중 길음4구역 재개발 임대아파트에 입주한 가구 비율은 31.1%, 23.7%는 서울시의 다른 재개발임대아파트에 입주한 것으로 조사됐다. 나머지 44.8%는 임대주택 입주권을 포기하고 일반지역으로 이주했다.

이를 두고 박 의원은 "개발과정에서 땅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이전 가옥주들이 분양권을 높은 가격에 판매하고 떠나는 개발 부작용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재개발로 주건환경은 개선되었지만 저소득층이 주를 이루는 원주민들이 임대아파트 임대료와 관리비를 부담할 수 있는 능력이 없어 결국더 열악한 곳으로 거처를 옮길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며 "주민 동의 강화와 세입자 참여를 통해 개발권의 공유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뉴타운 사업지역에 사는 빈곤층을 위한 저렴한 임대아파트의 공급과 원주민·세입자가 공사기간 동안 살 수 있는 가수용단지를 조성하는 등 서울시의 사례를 토대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김문수 지사는 "재정비촉진계획안에는 임대주택 건설 등 세입자의 주거대책을 포함하도록 하고 있다"며 "경기개발연구원에서 원주민의 재정착을위한방안에 대해 연구용역을 추진하고 있는만큼 충분한 검토를 거쳐 반영토록 하겠다"고 답했다.

/유길용기자 (블로그)y2k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