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가 부천, 시흥, 고양 등 9개시 10곳을 뉴타운 예정지로 선정한 뒤 100여일이 지났다.
이 사업은 공공과 민간이 함께 참여해 주택과 도시기반시설을 확충하는 종합적인 도시재정비사업이다.
그러나 투기바람이 불었고, 도는 지난해 11월 17일 뉴타운 예정지를 선정 한 다음날 이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20㎡이상)’으로 묶었다.
여기에 정부의 11.15, 1.11 그리고 1.31 부동산 대책이 발표되면서 ‘뉴타운’ 투기를 가로막았다.
실제 이 지역 부동산 업계는 11월 20일 이후 거래 물량이 실소유자 위주로 이뤄지고 있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 ‘뉴타운’ 예상 호재 실종
매수세가 급격히 위축되면서 거래는 종적을 감춘 상황이다.
도가 발표한 뉴타운사업 예정지역 부동산 거래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이후 도내 ‘뉴타운’ 지역의 전체 거래량은 1월 들어서 무려 6배 가까이 줄어들었다.
도내 거래량은 지난해 11월 토지 34건 3천196㎡, 주택 2천608건 24만8천108㎡에서 올해 1월 들어서면서 토지 3건 2천999㎡, 주택 322건 37만473㎡으로 나타났다.
지구별로는 △부천 소사지구의 경우 토지 23건, 주택 701건에서 각각 1건, 106건으로 줄었으며 고강지구는 토지 5건, 주택 1천261건에서 각각 0건, 90건으로 나타났다.
△시흥 은행지구는 토지거래가 0건에서 1건으로 나타났고, 주택거래는 248건에서 35건으로 7배 이상 거래가 줄어들었다.
반면 안양과 광명은 11월과 비교해 거래 건수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안양 안양지구는 지난해 11월 주택거래가 1건 101㎡에서 올해 1월 12건 3천118㎡으로 늘었다.
△광명 광명3지구도 9건 1천360㎡에서 51건 5천331㎡로 증가했다.
도 토지정보과 관계자에 따르면 “뉴타운 지역 부동산들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이후 종전 거래를 빠르게 서둘러 시행한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면서도 “실소유를 위한 사람들이 서울과 근접한 지역에 자리를 잡고 있는 상황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거래 건수, 가격 변동 모두 위축
‘뉴타운’ 호재는 도내 부동산 가격을 상승시키는 작용을 했다.
그러나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설정한 이후 거래와 가격 모두가 위축된 것으로 확인됐다.
부천 고강지구은 인근 아파트 가격이 상승했다.
Y아파트는 24평형이 8천700만원 수준에서 1억원까지 올랐으며, K아파트는 20평형이 1억1천500만원에서 12월 8천만원까지 떨어졌다가 1월 들어서 1억원의 호가가 형성됐다.
소사지구의 D빌라는 물량 자체가 자취를 감췄다.
시흥 은행지구 D연립주택은 18평형의 경우 지난해 11월 9천500만원에서 올해 1월 1억200만원 수준의 호가로 나타났다.
부천시 원미구 소재 T공인중개사 관계자는 “뉴타운에 지정된다는 소문이 돌면서 해당 지역 지분 시세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며 “소사지구와 원미지구의 경우 빌라 10평형이 1천만원에서 1천300만원 수준으로 시세가 형성됐고, 고강지구의 10평형 빌라는 그보다 낮은 1천100만원에서 1천200만원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도가 뉴타운 예정지로 선정하며 곧바로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고 정부도 잇달아 규제책을 내 놓으며 거래가 위축되고 시세도 꺾이기 시작했다.
도 토지정보과 유병찬 계장은 “토지거래허가구역은 모든 주택에 대해 규제를 가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며 “뉴타운이라는 기대심리에 따라 지난해 연말 가격보다 조금 상승할 수 있으나 거래가 없다보니 호가만 있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시흥시 S중앙공인중개사 관계자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면서 실수요자만 남은 상황에서 일부 지역은 뉴타운 선정 직전에 비해 평당 시세가 200만~500만원 가량 떨어졌다”며 “실수요자 이외에 경제적 여건으로 꼭 이사를 해야 하거나 팔아야 하는 사람들까지 적용돼 어려움을 호소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 투기 종적 감춰
‘뉴타운’ 지구는 투기꾼들의 ‘먹잇감’이 된지 오래다.
지난해는 전체 3차례에 걸친 뉴타운 사업지구가 등장했지만 이중의 어느 하나 투기가 비껴간 지구는 없다.
뉴타운 지구 지정 소문이 돌면 기획부동산업자들은 다가구주택을 닥치는 대로 사들여 분할, 매각하는 수법으로 투기를 일삼았다.
서울시 2차 뉴타운지구에 포함된 한남의 경우 땅값이 평당 5천만원을 육박하는 수준이었고, 다른 지구 역시 땅값 차이가 있을 뿐 양상은 비슷했다.
때문에 각 뉴타운별로 지구지정이전보다 땅값이 2~3배 이상 오른 것은 보통이다.
그럼에도 도내 뉴타운으로 지정된 9개시 10곳의 지구는 투기가 실종됐다는 평가다.
아파트를 팔고자 하는 사람들이 기대심리로 호가를 올리지만 실제 거래가 종적을 감췄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고양시 덕양구 소재 D공인중개사 관계자는 “앞으로 5년 이후에나 뉴타운 지구가 완성될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이곳에 거주를 해야 하는 요소 때문에 투기가 종적을 감춘 듯하다”며 “부동산 업자들은 거래 실종으로 일손을 놓고 있지만 원주민들에게는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도 뉴타운사업기획단 김철중 팀장은 “투기꾼들의 먹잇감이 됐던 서울시의 뉴타운 사업의 경험을 바탕으로 토지거래허가제와 건축허가제한을 시기에 맞춰 진행한 결과, 기대심리를 붙잡은 듯하다”고 말했다.
/한형용기자 je8day@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