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③ 建築, 土木에 관한 情報 資料

[도심속의 새로운 도시 뉴타운·2]개발위주서 도시부활 '유턴'

반응형
BIG
[도심속의 새로운 도시 뉴타운·2]개발위주서 도시부활 '유턴'
2006년 11월 24일 (금) 유재명 yjm@kyeongin.com

[2] 세계는 도시 재생중

우리나라에서 `도시 재생(Urban Regeneration)'이란 말이 표면화된 것은 몇해전에 불과하다. 서울시가 신·구도심간 격차 해소 차원에서 도시 재생의 일환인 `뉴타운 사업'을 들고 나오면서다. 이어 인천시가 서울시와는 사업 추진 방식이 다른 `도시 재생 사업'을 발표했고, 경기도는 민선 4기들어 `뉴타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한마디로 수도권은 현재 `도시재생 공사중'이라고 말할 수 있다.

앞서 `도심 속의 새로운 도시, 뉴타운' 1편(낙후 구도시 업그레이드, 경인일보 11월 23일자 3면 보도)에서 언급했듯 우리나라, 특히 수도권은 짧은 기간에 도시화율이 81.5%(2005년 말 현재)에 달할 정도로 급속한 도시화가 진행됐다.

그 양태도 무분별한 교외화 도시개발에 따른 양적도시 팽창으로 진행된 결과 기존시가지 또는 내부시가지가 점차 쇠퇴, 갖가지 부작용을 양산해 왔다.

그렇다면 이 같은 현상은 비단 우리나라 뿐일까? 영국, 미국, 일본, 싱가포르 등 일찍이 도시 안정화 단계에 접어든 선진국들도 도시 성장 양태가 우리와 마찬가지로 양적인 시가화 확장에만 주력해 온 결과 기성시가지의 쇠퇴현상을 맞았다.

때문에 이들 나라 역시 쇠퇴한 기성시가지를 물리적, 환경적, 문화적으로 개선해 활력이 저하된 기능을 회복하고 경쟁력 있는 정주환경으로 재창조하는 도시재생이 필요했고 일찌감치 도시재생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영국의 경우 1981년부터 1998년까지 런던 독랜드, 센트럴 맨체스터, 셰필드 등 12개 도시개발공사를 설립, 중앙 정부 지원하에 도시개발사업을 추진해 왔고, 1999년 이후 쇠퇴 도시의 재활성화를 전담하는 도시재생공사의 설립을 통해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도 1990년대 들어서 도심재생과 더불어 도시확산의 억제를 동시에 도모하려는 성장관리정책이 추진되면서 중심시가지(할렘가)의 문제를 단순히 빈곤대책으로만 취급하는 것이 아니라 공공교통시스템 정비 등 도시구조 자체를 재생하고자 하는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도시'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우리의 도시개발 모델인 일본 역시 1965년 이후 교외 쇼핑센터 등장, 1980년 업무 및 행정기능의 교외화로 인해 도심부 뿐만 아니라 주변 고밀도 시가지의 인구감소 현상이 심화됐고, 이로 인해 지역사회 붕괴와 생활환경 악화 등 우리와 비슷한 부작용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됐다.

일본은 이를 해소하기 위해 1998년 중심시가지 활성화법을 제정해 중심시가지 경제적 부흥을 시도하고 있다. 또한 도시재생 노력을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하기 위해 총리를 본부장으로 하고 내각관방장관 및 국토교통대신을 부본부장으로 하는 `도시재생본부'를 설치하고 있기도 하다.

싱가포르도 마찬가지다. 서울 등 수도권과 동남아 선두자리를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도시국가인 싱가포르는 한정된 국토를 효율적으로 활용, 경쟁력을 높여 나가고, 차이나타운 등 구도심의 재생을 위해 1970년대 도시재개발국(URA)을 설립, 체계적인 도시재생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싱가포르는 1971년부터 매 10년 단위로 싱가포르 전체의 장기 비전을 제시하는 콘셉트 플랜을 수립하고 있고, 매 5년 단위의 법적 계획인 마스터 플랜, 전국을 55개 지역으로 나눈 각 지역별 개발계획지침 등을 통해 도시 전체를 `일', `삶', `정체성', `편리한 주거환경' 등이 살아 숨쉬는 도시로 탈바꿈 시키고 있다.

이 처럼 영국, 미국, 일본, 싱가포르는 우리보다 적게는 10년, 많게는 30년 앞서 도시 재생을 추진하고 있고, 이들 나라뿐 아니라 프랑스 등을 비롯한 EU, 북미 등의 여러나라들도 신도시 개발 중심에서 도시재생 중심으로 도시개발 패러다임 자체가 바뀌고 있는 게 현실이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