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꿈해몽 및 運勢

[음양오행]음력과 양력 어느것이 더 과학적인가

반응형
BIG

[음양오행]음력과 양력 어느것이 더 과학적인가

 

시간을 나타내는 방법은 사람들 사이의 약속일 뿐이다. 그러나 그 약속은 자연의 변화와 어울려야 생활에 불편이 없고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자연의 시간을 잘 표현한 달력이 좋은 달력이라 한다면 음력은 양력보다 좋은 달력이다. 양력과 음력의 이력서를 살펴보자.

 

달력을 만드는 역법의 1차적인 목적은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정확한 시간과 날짜를 알려주는 것이다. 그런데 날짜를 정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서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편의에 따라 임의로 약속을 정해 사용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당장 오늘을 2000년 1월 1일이라고 약속한 후 모든 사람들이 그것을 받아들이고 생활한다고 해도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심지어 일주일을 5일로 해도 되고, 일년을 10달이나 20달로 정해도 상관없다.

그러나 이런 방법은 계절의 변화 등 자연세계의 모습과 잘 들어맞지 않아 불편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사람들은 오래 전부터 자연의 시간에 맞추어 날짜를 정하는 방법을 찾아냈다.

지구 운동에 맞춘 자연의 시간


세종때 만드렁진 해시계 앙부일구

자연의 시간이란 정확히 말하자면 지구의 주기적인 운행에 따라 생기는 현상이다. 즉, 1일은 지구가 스스로 한 바퀴 회전(자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이며, 1년은 지구가 태양 주위를 한 바퀴 회전(공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이다.

물론 달력을 처음 만들었던 사람들은 지구가 자전하거나 공전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 그러나 오늘날과 반대로 해가 하루에 한 바퀴씩 지구 주위를 돌고 있으며, 천구가 1년에 한 바퀴씩 회전한다고 생각해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음력이나 양력은 모두 기본적으로는 자연의 시간을 반영해 만들어진 달력이다.

그것은 음력과 양력 모두 1년의 길이를 365일 또는 366일 정도로 정한 것에서 쉽게 드러난다. 오늘날 1년의 길이는 약 365.2422일로 알려져 있는데, 동서양을 막론하고 고대인들은 이미 기원전에 이와 근사한 값을 알고 있었으며, 그것으로 1년의 길이를 삼았던 것이다.

그러나 한달의 길이를 정하는 방법에서는 음력과 양력이 커다란 차이를 보인다. 먼저 양력의 경우를 살펴보자. 양력은 해의 운행만을 고려하므로 자연의 시간에 따라 1달의 길이를 정한다면, 1달은 해가 황도 위를 한 바퀴 도는데 걸리는 시간을 12로 나누어서 그것을 1달의 길이로 정하면 된다.

이를 수식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즉, 1년의 길이를 365.25일이라고 한다면 1달은 365.25일 12 = 30.44일로 정하면 되는 것이다.

2월의 해가 가장 빨리 움직인다?


처음에는 이런 원칙이 대체로 지켜졌다. 따라서 큰달을 31일, 작은달은 30일로 정하여 그것을 교대로 배열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서양에서는 정치적인 목적에 따라 이런 원칙은 무너지게 됐다. 시저와 아우구스투스는 자신의 생일달을 기념하기 위해 7월과 8월을 임의로 날짜를 늘려 버렸다. 그 결과 2월은 28일 또는 29일밖에 되지 않으며, 7월과 8월은 연속해서 큰달로 배치됐다.

이를 해의 운행에 적용해 설명한다면, 1월달의 경우 해는 31일 동안 황도의 1/12 만큼 운행해야 되므로 비교적 천천히 움직여야 한다. 그리고 2월달이 되면 28일 동안 똑 같은 거리를 운행해야 되므로 상당히 빨리 움직여야 되는 것이다. 이런 모순으로 양력은 1달의 길이를 정함에 있어서 천체의 운행에 따른 자연의 시간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음력은 원칙을 보다 철저하게 지켰다. 1달의 길이를 정할 때 양력은 일년을 12로 나눈데 비해, 음력은 달의 주기를 기준으로 삼았다. 즉 음력에서는 달의 모양이 날짜가 지나면서 초승달-상현달-보름달-하현달-그믐달로 바뀌는 것을 보고 그 주기 약 29.53일을 1달의 길이로 정했다. 이에 따라 음력에서는 1달의 길이가 29일 또는 30일이 되는 것이다.

결국 음력은 양력보다 천체의 운행을 보다 더 정확하게 반영하려고 했던 달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점은 다음과 같은 사실에서도 보다 분명하게 드러난다.

먼저 양력에서는 1년의 길이를 365.25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 값은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1년의 정확한 길이는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력에서는 계속해서 이 근사값을 사용했을 뿐이다.

천문학 발전에 따라 정확도 증가


그러나 음력에서는 보다 정확한 1년의 길이를 얻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으며, 그 결과 얻어진 새로운 값은 곧바로 새로운 달력에 반영됐다. 과거 동양에서 나타났던 몇 가지 대표적인 역법과 이에 쓰인 1년의 길이를 보여주는 (표 1)를 보면 이를 잘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돌에 만든 해시계

달력이 처음 만들어진 이후 지금까지 양력은 몇 차례 바뀌지 않았다. 그에 비해 음력은 지속적으로 새로운 역법이 제시됐으며 그 종류는 지금까지 거의 1백여 가지에 달한다.

이것은 동양인들이 달력이란 항상 실제 천체운행의 모습을 직접적으로 반영해야 한다는 생각에 철저했기 때문이다. 동양에서는 천체운행에 관한 새로운 천문학적 지식이 얻어질 때마다 그 내용을 음력에 포함시켰던 것이다.

이런 태도는 음력의 24절기에 대한 표시에서 나타난다. 계절이 변하는 이유는 지구의 회전축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공전하기 때문인데, 이런 현상을 달력에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 등의 24개의 절기로 표시했다.

양력에서는 해의 운행을 가지고 날짜를 표시하기 때문에 우리는 그 날짜만 보아도 해의 위치를 어림잡을 수 있다. 그러므로 양력에는 따로 24절기를 표시할 필요가 없다.

휴대용 해시계

그러나 음력에서는 계절의 변화와 관계 없는 달의 운행을 보고 날짜를 표시하기 때문에 음력 날짜만으로는 계절의 변화, 즉 해의 위치를 알 수 없다. 음력에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처음부터 날짜와는 별도로 24절기를 따로 표시해 주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