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건축 재개발 뉴타운 소식/☞♣ 富川市 再開發 및 기타소식

경기도내 일반버스 요금 100원 인상될 듯

반응형
BIG
도내 일반버스 요금 100원 인상될 듯


<속보>경기도버스요금 인상과 관련, 일부 정당과 버스업계 종사자들간 충돌로까지 번지며 물의(본보 1월 11일자 1면 보도)를 빚은 가운데 버스요금이 당초와 같이 일반버스의 경우 100원선에서 오를 전망이다.


 12일 오전 경기도청에서 열린 ‘2007년 시내버스 요금조정(안)’에 대한 공개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버스경영의 투명성 유지를 위해 현금이용자에게 불이익을 줘야한다”며 이 처럼 의견을 조율했다.


 이지헌 도 교통국장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토론회에는 소비자정책심의위원회, 버스업계 관계자, 대중교통전문가, 시민단체, 관계 공무원 등 20명이 참석, 유가상승 및 인건비 증가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버스업계의 현실을 공감하며 도에서 제시한 3가지 인상안 중 기존안을 선호하는 모습을 보였다.


도는 이날 기존안보다 이용자들의 현금요금부담 및 청소년 요금을 경감한 조정2안과 카드요금을 인상해 운송수지 손익분기점을 맞춘 조정3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2안의 경우 좌석, 직행버스에 청소년 및 어린이 할인제가 불가했고, 3안은 카드이용 확산 및 이용자 부담 증가 등으로 인해 선택되지 못했다.

 

장안대학 이경서 교수는 “버스업계가 적자를 감수하고 있다는 것에 공감한다”며 “버스가 교통수단의 30%이상을 차지하는 현실에서 업계의 적자를 방치할 수 없다”며 조정1안을 선호했고, 박현옥 한국부인회 경기지부장도 “지난 소비자심의위에서 중단된 것은 일부위원 때문이 아닌 심의자료가 더 필요했기 때문”이라며 “인상의 타당성이 검증된 만큼 현실적으로 부담이 적은 1안에 동의한다”고 밝혔다.


 다만 참석자들은 카드보급이 떨어지는 경기북부지역에 대한 대비와 어린이 요금의 경우 현금 및 카드요금이 동일해 카드사용시 혜택을 주자는 의견도 제시했다.

 

이에 대해 경기개발연구원 송제룡 연구위원은 “북부지역의 카드확대를 위해 버스안에서 교통카드 판매를 시작하고 농어촌지역에 월2회씩 가두판매할 것”이며 “어린이는 카드이용이 떨어져 상대적으로 현금에 대한 불이익을 주지 않은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토론회는 이와 함께 그동안 논란이 됐던 도와 버스조합의 운송수지 적자폭의 차에 대해 명확히 구분짓는 계기가 됐다.


 경기개발연구원 김점산 책임연구원은 “도가 조사한 것은 버스업계가 운영한 각종 자료물을 놓고 분석했기 때문에 한치의 오차도 없고 최대한 운영상의 절감을 감안해 분석한 것”이라면서 “업계에서 조사한 것은 현재 운영상의 어려움으로 배차간격을 줄이는 등의 행위를 배제한 정상적인 서비스를 펼치기 위해 필요한 금액을 산정키 위한 기준”이라면서 산정방식의 차이를 설명했다.


 이와 관련 경기도의회 민노당 송영주 의원은 “버스요금 인상 자체를 반대한 것이 아니라 버스업계 부담을 도민에만 전가시키지 말자는 취지였다”며 “도에서도 부담을 하고 있는 만큼 (요금인상 및 재정지원이 됐을 경우) 버스업계의 운영개선을 검증할 수 있는 관리가 필요하다”며 기존 입장에서 선회했다.


 박관규기자/qoo@joongboo.com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