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박남숙 용인시의회 의원 |
귤화위지(橘化爲枳)란 말이 있다. 강남에 심은 귤을 강북에 옮겨 심으면 탱자가 된다는 말이다. 기후와 풍토가 다르면 귤이 탱자가 되듯이 사람도 주위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비유한 고사성어이다.
춘추전국시대 제(齊)나라에 중국 역사상 드물게 보는 안영이란 명재상이 있었다. 그는 재상이 된 뒤에도 밥상에는 고기반찬을 올리지 않았고, 아내에게는 비단옷을 입히지 않았고, 조정에 들어가면 임금께서 묻는 말에 대답하되 묻지 않으면 대답하지 않았으며 또한 유창한 달변과 임기응변으로도 유명한 인물이기도 하다.
어느해 초(楚)나라의 영왕(靈王)이 제나라 사신으로 온 안영을 초청하였는데 초왕이 인사말을 끝내기가 무섭게 입을 열었다. 안영이 키가 작은 것을 빗대어 “제나라에는 사람이 그렇게 없소? 하필 경(卿)과 같은 사람을 사신으로 보낸 이유가 뭐요?”라고 물었다. 왜소한 안영의 외모를 조롱하는 말투였다.
그러자 안영은 서슴치 않고 태연히 대답하였다. “그 까닭은 이러합니다. 우리 제나라에선 사신을 보낼 때 상대방 나라에 맞게 사람을 골라서 보내는 관례가 있습니다. 작은 나라에는 작은 사람을 보내고, 큰 나라에는 큰 사람을 보내는데 신(臣)은 그 중에서도 가장 작은 편에 속하기 때문에 초나라로 오게 된 것입니다.” 안영의 능수능란한 말솜씨에 기세가 꺾인 초왕은 은근히 부아가 끓어올랐는데, 마침 그 앞으로 포리(捕吏)가 제나라 사람인 죄수 하나를 끌고 가자 초왕은 안영에게 들으라고 큰소리로 죄인의 죄명을 밝힌 다음, “제나라 사람은 도둑질을 잘 하느냐”고 안영에게 물었다.
안영이 말하기를 “제가 듣기로는 귤이 회남(淮南)에서 나면 귤이 되지만, 회북(淮北)에서나면 탱자가 된다고 들었습니다. 지금 백성들 중 제나라에서 나고 성장한 자는 도둑질을 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초나라로 들어 오기만하면 도둑질을 합니다. 초나라의 물과 땅이 백성들로 하여금 도둑질을 잘하게 하는 것입니다.”라고 응수하자 초나라 왕은 더 이상 안영을 무시하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여기서 나온 고사성어가 ‘귤화위지’인데 기후와 풍토가 다르면 자연스레 그렇게 된다는 말이고 사람도 주위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사람은 어쩔 수 없이 주변과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태생적으로 좋은 인품을 가졌던 사람도 처해진 환경에 따라 귤화위지가 될 수 있고 인간성이 별로 좋지 않은 사람도 여건에 따라 달라질 수가 있다. 다시 말하면 마음먹기에 따라 좋은 사람도 얻을 수 있고, 반대로 적으로 돌릴 수 있다는 말이다.
요즘 인맥관리란 말을 많이 듣는다. 인맥관리란 말이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인맥 없이 지도력을 발휘하기가 어렵다는 것이 현실이고 보면 바람직한 인맥을 구축하는 일이야 말로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렇다면 바람직한 인맥이란 무엇일까? 이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기에 앞서 먼저 걱정되는 것은 인맥에 대한 부정적인 선입관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인맥을 영업대상으로 활용하려는 불순한 생각이다.
탁 까놓고 이야기해서 내가 어렵거나 도움이 필요할 때 저 사람이 얼마나 도와 줄 수 있을 것인가, 내 성공의 사다리로 얼마나 가능할 것인가의 가늠자로 판단하고 의도적 접근을 꾀하는 기술로 생각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대답은 ‘NO’다. 세상일이나 사람일이나 내 마음대로 좌지우지 될 만큼 호락호락하지 않다.
인맥의 진정한 의미는 즐거울 때나 어려울 때나 서로에게 힘이 되고 격려해 줄 수 있는 사이의 동지를 만들고 그 관계를 구축하는 작업이다. 말은 쉽지만 참으로 어려운 작업이다. 살다보면 동고(同苦)했다고 해서 동락(同樂)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동락했다고 해서 동고할 수 있는 것도 아니라는 사실을 실감하게 된다. 동락을 위해 함께 동고하자고 해놓고 말 바꾸기를 한다면 신뢰가 깨어지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이치이다.
그러므로 인맥관리는 몇몇 사람을 집중관리 한다고 해서 단기간에 획득되는 일이 아니다. 장기간에 걸쳐 신뢰를 구축하는 작업이라는 말이다.
사람과 사람 사이를 이어주는 것은 신뢰이지 잔머리가 아니다. 잔머리를 잘 굴리는 사람은 결코 좋은 사람을 자신의 그물에 담을 수 없다. 사람들은 좋은 사람을 자신의 그물에 담고 싶어 한다.
그러나 귀한 인연은 귀인을 만나는데 있지 않고 자신이 상대에게 귀인인 되는데서 만들어 진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자신이 상대에게 귀인이 되어 주면 그 사람은 자연히 자신에게 귀한 사람이 되어 준다. 좋은 사람이 따로 있는게 아니다. 귤화위지 처럼 내가 그 사람에게 어떤 환경을 만들어 주었느냐에 따라 여당이 될 수고 있고 야당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적으로 돌리느냐, 친구로 남느냐는 모두 자기가 하기 나름이다. 그러므로 건강한 인맥관리는 내 그물안에 좋은 고기를 담기 위하여 어떤 전략을 세우느냐가 아니라 내가 어떤 모습으로 다가서느냐에 달려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