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의 유일한 녹지축, 화장장 절대 안돼” 화장터건립반투위, 삭발투쟁 1주년, 침묵시위 벌여 | ||||||||||||||||||||||||||||||||||||
| ||||||||||||||||||||||||||||||||||||
나정숙 기자 bj21news@naver.com | ||||||||||||||||||||||||||||||||||||
| ||||||||||||||||||||||||||||||||||||
부천타임즈:나정숙 기자. 사진:고은경 기자
부천화장터건립반대투쟁위원회(공동대표 권명희)와 권정희 전 위원장, 사이버환경운동부천은 28일 삭발투쟁 1주년을 맞아 부천시청 잔디광장에서 성명서를 발표하고 30여분간 침묵시위를 벌였다.
반투위는 ‘삭발식 1주년을 맞이하여’ 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통해 “춘의동 예정부지가 부천시에서 추진 중인 추모공원(화장장 및 납골당) 부지로 적합치 않음을 집회 시위 등을 통해 수 차례 제기하였으나 도시관리계획변경안을 처리해 달라고 경기도에 목을 매고 있다”며 “그곳은 수 만여 세대가 밀집해 거주, 또는 입주예정 중에 있고, 학교·정수장·물박물관·생태박물관·종합운동장 등이 있어 학생들의 견학과 체험학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곳인 동시에 녹지 환경이 열악한 부천에서 유일한 녹지축”이라고 주장했다.
반투위는 또 “산이라고는 하지만 해발고도 50~60m의 낮은 둔덕에 등산로와 산책로를 이용하는 주민 남녀노소, 심지어 어린아이까지 걸어서 화장터 주변을 오고 갈 수 있다면 과연 이곳을 화장터 건립에 적합한 장소라고 그 누가 생각하겠는가?”라고 반문하고 “이미 그러한 민원을 예상하였기에 경기도는 2004년 12월 30일 인근주민에 대한 민원대책을 세우고 인근지자체와 협의하라고 반려하였고, 2006년 5월 26일에는 서울시와의 우선의견 조회결과 2011년도까지 사업계획에는 배제하고 이후 추진 시에도 인근주민과 먼저 합의를 이루라고 반려한 것”이라고 밝혔다.
반투위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천시는 7월 12일 재심의를 요청, 경기도에서는 12월 심의예정”이라며, “경기도는 행정의 일관성을 가져야 할 뿐 아니라 두차례나 반려 요건을 갖추지 못한 행정절차로 스스로 모순에 빠지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반투위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권명희 씨를 비롯해 권정희 전 위원장 등 5명은 지난해 11월 28일 부천시의 화장터 조성을 강력 비판하며 시청 잔디광장에서 집회 시위 중 삭발했다.
한편 부천 화장터 반대투쟁위는 고강·원종·성곡 주민 대표들과 함께 27일 오후 4시 국회에서 원혜영 국회의원을 면담하고 현재까지의 상황을 설명했다.
원혜영 국회의원은 이 자리에서 “부천시가 요건도 충족되지 않은 화장장 예정지내 G/B관리계획변경안을 경기도에 재 신청한 의도와 경기도에서 행정행위를 계속 진행하려는 뜻을 이해할 수 없다”고 전제하고 “부천 화장터 건립 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알고 있으며, 춘의동 조성을 반대하는 임해규 의원과 동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
'재건축 재개발 뉴타운 소식 > ☞♣ 富川市 再開發 및 기타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천 쓰레기봉투 왜 이리 비싸?” (0) | 2006.12.03 |
---|---|
부천시 자연생태박물관 식물원 조감도 (0) | 2006.12.01 |
버거운 임대료 입주 포기자 늘어 (0) | 2006.11.30 |
[알뜰정보] 부천시, 무료 결핵 검진외 (0) | 2006.11.30 |
오정섭 도의원(부천), “건물노후율만 적용 도시재정비 道조례 개정 추진하겠다” (0) | 2006.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