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fiartinterior.co.kr/img/style_title01.gif)
![](http://www.fiartinterior.co.kr/img/style_img01.gif) |
![](http://www.fiartinterior.co.kr/img/style_title02.gif)
격식을 차린 포멀(Formal)한 느낌의 스타일이
곧 클래식이다. 유럽의 클래식 인테리어는 각 시대의 귀족문화가 고전적 양식으로 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져 온 것이 대부분이다.
|
그러나 현대인이 고전실내에서 바라는 바는 옛것에 대한 향수와 귀족적 신분의 표현인
것이다. |
![](http://www.fiartinterior.co.kr/img/style_img02.gif) |
![](http://www.fiartinterior.co.kr/img/style_title03.gif)
클래식에 대해 모던(Modern)이라고 하는 이미지가 있다. 이것은 크게 캐주얼과
오소독스(Orthodox) 로 나뉜다. |
|
.캐주얼
인테리어 |
|
클래식과는 개극을 이루는 간명하고 소박한 느낌의 실내이다. 형식을
탈피하여 자유롭기 때문에 일반에 많이 침투되어 있다. 샤프하면서도 경직되지 않고 인간미가 넘치는 "시티 인테리어" (City
Interior)등이 이에 속한다. |
|
.오소독스
인테리어 |
|
캐주얼보다는 다소 격식을 차린 품위있고 차분한 것을 가리킨다. 이런 실내에 비치되는 가구나 장비(Furnishing)도
심플하기는 하지만 모던 디자인으로서 공들여 만든 것이 대부분이며 소재나 색채도 모두 짜임새있게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
![](http://www.fiartinterior.co.kr/img/style_title04.gif)
클래식이 귀족의 생활에서 잉태된 양식 이라면 , 그 시대의 농어민의
생활속에서 만들어진 것이 포크로어(Folkore)이다.
따라서 클래식을 귀족적인 것에의 동경이라고 한다면 포크로어는 사람들의 피 속 에 숨겨 있는 민예적인 것에 대한 향수라고도 할 수 있다.
이 양식은 시대가 지난 낡은 것을 수집하여 만드는 인테리어 뿐만이 아니라 현대인의 손으로 만든 것도 포함되는데, 모두가 민족성.지역성을
살린 것이다. |
자연적인 소재성을 살린 인테리어를 말한다. 이 개념과는 대조적으로 생활의 합리화를 도모한 심플 인테리어도
있다. |
|
![](http://www.fiartinterior.co.kr/img/style_title06.gif)
포크로어와는 다소 구분되는 것으로, 시골풍 또는 지방색이 짙은 것을 일컫는다. 클래식을 캐주얼 화한 것도
여기게 속한다. |
![](http://www.fiartinterior.co.kr/img/style_title07.gif)
품위있고 우아한 것을 엘리건트라 하여 캐주얼이나 프로빈셜과 대조시켜 사용하기도 하고 화려하면 서도 여성적인
취향을 "로맨틱"이라고 특별히 지칭하기도 한다. |
기타 환경.기후.풍토에 따라 단순히 동양풍.한국풍.일본풍.북구풍 등으로
말하기도 한다. 또한 남성적인 것과 여성적인 것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이상의 열거한 것들 가운데서 자기의 취향에 맞는 스타일을 선택하여
계획의 방행을 결정지워 나가 는 것이 순서이다.
| | | |